본문 바로가기

최초의 페미니즘 희곡 "인형의 집"

by nmy39021 님의 블로그 2025. 8. 4.

 

 

 

 

 

#인형의집

#헨리크입센

#민음사

#안미란 옮김

#노라이즘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52101369644?cat_id=50005543&frm=PBOKPRO&query=%EC%9D%B8%ED%98%95%EC%9D%98+%EC%A7%91+%EC%B1%85&NaPm=ct%3Dmdwfuihs%7Cci%3Db7c88a30cf7cb26f8b54082342d3dad99b18da06%7Ctr%3Dboknx%7Csn%3D95694%7Chk%3D3405a125dde8d6a2eaf7f7ccb4cd3190f70b4cef

최초의 페미니즘 희곡

 

 

 

오늘은 독서모임과 함께

한 책을 소개해 볼게요~~

이 책은

19세기 후반에 발표된 사회 비판적 희곡으로,

여성의 자아와 자유에 대한 문제를 다룬 현대극의 고전입니다.

 

 

지금 이 시대에도 이런 남편이 있고

이러한 사회상이

있다는 것에 소설을 읽는 동안 답답했어요.

 

 

 

주체적인 삶을 살아야 하고

아이에게도 그런 환경을 만들어 줄수 있는

부모가 되어야 겠다는 생각을 갖었어요..

 

 

 

인형의 집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인형의 집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다양한 의견을 들을수 있는

독서모임은 언제나 즐거워)

 

 

줄거리 요약

 

주인공 노라는 남편 토르발과 세 아이들과

함께 평범하고 안정된 가정을 꾸리고 사는 듯 보입니다.

그러나 과거 남편이 병으로 쓰러졌을 때,

노라는 몰래 돈을 빌려 남편을 치료하고자 했고, 그 과정에서 위조 서명을 했습니다.

 

이 사실을 알고 있는 은행원 크로그스타드는 자신의 해고를 막기 위해 노라를 협박합니다.

위기에 몰린 노라는 토르발아 자신을 이해하고

감싸줄 것이라 믿지만,

토르발은 자신의 체면을 걱정하며 노라를 비난합니다.

 

그때 노라는 깨닫습니다 —

자신이 남편과 아버지의 "인형"처럼 살아왔으며,

진정한 자아를 찾기 위해 집을 떠나야 한다는 것을.

 

 

 

교훈 및 주제

 

1. 여성의 자아 발견: 노라는 "이 집에서 난 인간이 아니었어"라고 말하며,

단순한 아내나 어머니가 아니라,

자기 자신으로서의 삶을 살고자 떠납니다.

 

 

2. 사회적 위선 비판: 겉보기엔 완벽한 가정도 실제로는

억압과 위선으로 가득 차 있음을 보여줍니다.

 

 

3. 개인의 자유와 선택: 타인의 기대나 사회적 규범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노라이즘(Noraism) 이란?

 

 

노라(Nora)의 행동을 중심으로 한 철학적·사회적 태도

 

가부장제와 관습적 역할에서 벗어나려는 여성의 자아 해방 운동

 

“좋은 아내, 착한 딸”이라는 역할을 거부하고,

인간으로서의 독립성과 주체성을 추구하는 사고방식

 

 

즉, 노라이즘은 단순히 반항이 아니라,

존엄성과 자율성을 향한 각성입니다.

이는 페미니즘 철학, 자기 성찰, 사회적 해방과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인형의 집

n행시

 

 

 

 

🍃인 정 받고 싶었나?

🍃형 식적인 아내.엄마.딸의 모습으로 살아온 노라

🍃의 식이 깨어나고..

큰일을 겪으면 그 사람의 진 면목을 알아볼수 있다더니

본인부터 먼저 생각하는 남편 토르발 최악이야!!!

🍃집 을 나서며

나 자신에 대한 책임이 나의 의무임을 알게되었다.

 

 

 

#문장수집 #기대평 #읽은책 #독서모임

#도착인증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추천도서

#도서협찬

#동해시독서모임

#동해독서모임

#동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