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올여름, 복날에 ....복날의 어원을 찾아서.."

by nmy39021 님의 블로그 2025. 8. 9.

복날(伏日)은 한국의 대표적인 여름 세시풍속으로,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의 삼복(三伏) 기간을 의미합니다.

이 시기는 대개 양력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 사이로, 한 해 중 가장 더운 시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복날은 단순히 더위를 견디는 날이 아니라,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문화적 의미를 지닌 날입니다.


 

 

 

 

복날의 어원과 유래

'복'(伏)이라는 글자는 '엎드릴 복' 자로, 더위에 지쳐 엎드린 동물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복날은 중국의 음양오행 사상과 간지력에서 유래되었으며, 하지(夏至) 이후부터 입추(立秋) 전까지의

가장 더운 시기에 해당합니다.

이 시기는 양의 기운이 극에 달한 후 음의 기운이 시작되는 시점으로,

인간도 자연의 흐름에 따라 양기를 보충하고 건강을 챙기는 시기로 여겨졌습니다.


 

 

 

전통적인 복날 풍습

전통 사회에서 복날은 무더위를 이기기 위한 다양한 풍습이 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보양식을 섭취하여 체력을 보충하는 문화가 있었으며, 계층에 따라 복날을 보내는 방식이 달랐습니다.

부유한 계층은 복날을 챙겨서 쉬며 보양식을 즐겼고,

농가에서는 농사일로 인해 복날에 제대로 쉬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현대의 복날 문화

현대에 들어서면서 복날 풍습은 상업화되며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였습니다.

복달임 음식이 상품화되면서 삼계탕, 육개장 등 다양한 보양식이 등장하였고,

외식이 일반화되면서 복날에 보양식을 사서 먹는 문화가 확산되었습니다.

또한, 복날을 맞아 기업에서는 다양한 마케팅 행사를 기획하여 복달임 물품을 판매하기도 합니다.


 

 

 

 

복날의 지속적인 전승

오늘날에도 복날은 특정 음식을 먹고 한여름 무더위를 이기려는 날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다수의 전통 세시풍속이 자취를 감춘 가운데, 복날이 여전히 전승되고 있는 것은 전통문화가

선택적으로 전승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복날은 단순한 풍습을 넘어, 계절의 흐름 속에서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복날은 한국의 여름을 대표하는 세시풍속으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더위를 이기기 위한 다양한 풍습과 보양식은 물론, 현대 사회에서의 변화된 모습까지, 복날은 우리의 삶 속에 깊이 자리하고 있습니다.